본문 바로가기
재태크 경제

금과 달러 연동 투자

by ssongnara 2025. 5. 3.

 

# 달러 강세 시대, 금과 달러에 동시에 투자하는 법

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여겨지지만, 달러 역시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‘기축통화’라는 강점을 가집니다. 그런데 이 두 자산이 동시에 연동되는 구조가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
1. 금과 달러는 어떤 관계인가?

일반적으로 금 가격은 달러와 반비례 관계를 가집니다. 달러 가치가 상승하면 금 수요가 줄고, 달러가 약세를 보일 때는 금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입니다. 하지만 최근에는 인플레이션 헷지라는 공통적 기능 때문에, 금과 달러가 함께 움직이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

2. 왜 달러-금 연동 투자가 필요할까?

  • ① **환율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**: 금 ETF 중 ‘환헤지(H)’ 상품은 환율 영향을 최소화합니다.
  • ② **글로벌 분산 투자 효과**: 금은 달러로 거래되는 원자재이므로, 동시에 연동된 자산에 투자하는 셈입니다.
  • ③ **안전자산 이중 효과**: 글로벌 금융 위기 시 달러와 금 모두 강세를 보일 수 있음

3. 어떻게 투자할 수 있을까? – A부터 Z까지

대표적인 달러-금 연동 투자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:

  1. 금 ETF 환헤지(H) 상품 투자: KODEX 골드선물(H), TIGER 금은선물(H) 등
  2. 달러 RP + 금 통장 병행: 하나은행/신한은행에서 달러 정기예금과 골드뱅킹 투자
  3. 달러 ETF와 금 ETF 동시 매수: ARIRANG 미국달러선물 + KODEX 골드선물 조합

4. 실전 예시: 100만 원으로 포트폴리오 구성

환율 1,350원 기준일 때:

  • 금 ETF(H): 50만원 투자 → 환헤지 금 가격에 따라 수익 발생
  • 달러 ETF: 30만원 투자 → 달러 강세 시 수익 가능
  • 달러 RP(정기예금): 20만원 → 안정적인 달러 자산 유지

5. 유의사항

  • 📉 환율과 금 시세는 동시 하락 가능성도 있음
  • 📊 환헤지 상품은 원/달러 기준 헤지 비용이 반영됨
  • 📅 장기적 관점에서 분산 비중을 조절할 것

@ 핵심 요약

  • 금과 달러는 반비례 관계이나 최근에는 함께 움직이기도 함
  • 환헤지 ETF 또는 달러/금 분산 포트폴리오 구성이 유리
  • 초보자는 소액부터 금 통장 + 달러 RP로 시작 추천

“리스크를 줄이는 가장 쉬운 방법은 두 가지 안전자산을 함께 보는 것이다.”

출처: KRX 한국거래소,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, 하나은행 골드뱅킹 자료 기준
기준일: 2025년 5월 3일 오전 9시 / 금 시세 1g = 103,000원 / 환율 = 1,350원
블로그: https://ssongnara.tistory.com/entry/달러와-금-연동-투자


개인정보처리방침 | 광고정책 안내